백난아 / Baek Nan-Ah
- Gerald Van Waes
- 15 sep 2019
- 9 minuten om te lezen


A few tracks can be found on CD2 from V.A.: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두번째 (phonographs) (1945~1960) 12-CD box (1996) which was reviewed on next page:
"Baek Nan-Ah / Baek Nan-A has three more (old time) stomping (rhythm) tracks included, the earliest one is the most old-styled (or more Japanese-like) pre-Trot."
* 1 북경(北京)아가씨 / Beijing baby girl
2 오동동 극단(劇團) (drama) (.. 3011)
3 황하다방(黃河茶房) / Hwanghabang (Suruga Sabo) (.. 3017)
* 4 도라지 낭낭(娘娘) / Bellflower bag (daughter) (.. 5002)
5 간도선(間島線) / Kando Line (.. 5016)
6 직녀성(織女星) / Weaving (.. 5018)
7 망향초(望鄕草) 사랑 / Manghyangcho Love (.. 5018)
8 할미꽃 아리랑 / Pasqueflower Arirang (.. 5028)
9 찔레꽃 / Brier (.. 5028)
* 10 북청(北靑) 물장수 / Bukcheong Water Collector (.. 5042)
* 11 무명초(無名草) 항구(港口) / Myeongchocho Harbor (.. 5067)
Tracks with * I consider essential listens or classics, or tracks not to miss to check out. They are of course also very suitable for western radioshow airplay.
"Of course, we also have some cabaret jazz songs, but mostly the Japanese flavour (sung in a still more typical Korean way) dominates. I am not sure but this could make such a collection of songs sound slightly dated and repetitive which for a curious western listener this could make him less interested despite there always is a fine voice and song performance. I am sure the jazz flavours will still do the trick to combine with this very well although these particular band arrangements still often play it rather safe. More attention and time frames to the band arrangements can be heard on "Myeongchocho Harbor" which makes it another favourite choice."
(I think for me track 4 and 10 and 11 are favourites choices).
Additional comments: "Bejing Baby Girl" is more in Shanghai/Chinese style. It is another to check out as well. Bellflower Bag also has something of that same Shanghai jazz flavour, with a bit more 30s styled American jazz to it.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두번째(1945~1960) [Disc 2] (2000)
CD2 10 호숫가의 엘레지 / Elegy by the Lake
CD2 11 봄바람 낭낭(娘娘) / Spring Wind (daughter)
CD2 12 낭낭(娘娘) 십팔세 / 18 years old
Three more fine tracks can be found on this compilation. The trot track 호숫가의 엘레지 / "Elegy by the Lake" has fine arrangements and is another good one to save from history. 낭낭(娘娘) 십팔세 / "18 years old" sounds like a very light and frolic song. It sounds that the tracks were directly taken from the records, so cracks and small parts of partial distortion must be taken with it.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 Music I heard from the Meteor Period (1925~1945) [Disc 8]
11 아리랑 낭낭 / Arirang bag (1940)
12 갈매기 쌍쌍 / Seagull Pair (1940)
Tracks with * I consider essential listens or classics, or tracks to check out for sure. It are tracks that makes them also very suitable for western radioshow airplay. Tracks that are only underlined can be considered fine tracks worth to check out as well, but I am not sure or cannot tell how essential they really are.
Despite the title, this is an up tempo trot song with honky tonk banjo and accordion and steady trombone bass rhythm, but it still has inserted an Arirang theme part association. "Seagull Pair" is a Japanese styled trot song in walking rhythm (with flute and accordion based arrangements and bass rhythms).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 Music I heard from the Meteor Period (1925~1945) [Disc 9]
12 직녀성 / Weaving (1941)
13 망향초 사랑 / Mangchocho love (1941)
The second track I first thought I haven't listed this one yet, but I did. It is a light, mainstream trot song with humpapa rhythm and accordion for the instrumental part.

유성기로 듣던 가요사 / Music I heard from the Meteor Period (1925~1945) [Disc 10]
13 찔레꽃 / Brier (1943)
This is a mainstream trot song with a little bit of Hawaiian slide guitar as its most uncommon or most original element.
------------------------------------------
BIOGRAPHIES:
백난아는 1940년 태평레코드와 조선일보가 공동으로 주최한 콩쿠르 대회에서 2등으로 입상하였다. 같은 해, 선배가수 백년설에게 ‘ 백난아’라는 예명을 받고, 오동동 극단을 취입하였다. 오동동 극단〉이 히트되자 그녀는 계속 〈갈매기 쌍쌍〉, 〈망향초 사랑〉, 〈땅버들 물버들〉, 〈도라지 낭랑〉, 〈아리랑 낭랑〉, 〈찔레꽃〉, 〈흥아의 봄〉 등을 취입하였다. 대한민국이 일본에게서 해방될 직전까지 태평레코드에 전속으로 있으면서, 많은 인기를 얻었다. 해방 직후에는 ‘파라다이스 쇼단’을 운영하며 대한민국 전국 순회공연을 다녔고, 1949년부터는 럭키레코드 전속으로 〈금박댕기〉, 〈낭랑 18세〉, 고려레코드에서 〈인도야곡〉을 발표했다. 그러나 곧 한국 전쟁이 일어났고, 그녀는 전쟁 중 연예인들의 아지트였던 대구로 피난하였다. 그 곳에서 여러 연예인들과 활동하며 한때는 군예대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전쟁 후에는 태평레코드와 서라벌레코드에서 활동하며, 〈멕시코 나이트〉, 〈고랑포 아낙네〉 등을 취입하였다. 1960년대까지도 활발히 신곡 취입을 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주로 극장무대에서 활동하였다. 본격적인 TV시대가 열리면서, 그녀는 원로가수 대접을 받으며 방송출연을 활발히 하였는데 특히 〈가요무대〉에서 자주 출현하였다. 그러던 중, 1992년 대장암이 발병했고, 평소 지병이던 심장병이 겹쳐 결국 70세로 세상을 떠났다.
--------------------------------------------
Roughly translated :
Paik was the second-place winner at the 1940 competition held by Taepyeong Records and Chosun Ilbo. In the same year, this senior singer was named “Bang Nan-ah” and also hier brother Dong-dong was introduced.
When the "paulownia troupe" hit high, she continued to record other songs like Seagulls, Love of Mangyangcho, Land of Willows, Bellflower Rang, Arirang Rang, Brier, and Spring of Heunga. She stayed at Taepyeong Records until South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after which she gaining more popularity.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she operated at Paradise Shodan and toured the country all over Korea.In 1949, she released ``Gold Leaf Dangi'', ``Rang 18'' and ``Indoyagok'' at Goryeo Records.
But soon the Korean War broke out and she fled to Daegu, a hangout of entertainers during the war. There she worked further with several entertainers and also once served at military college.
After the war, she worked at Taepyeong Record and the Sora (??).
Until the 1960s, she was active in releasing new songs. Since then, she has been active at theater stages.
When TV era began more seriously, she appeared on TV, especially in the Song Stage. Then, in 1992, colon cancer developed, and heart disease, a chronic disease, after which she died at age 70.
Some other songs :
* A Song of a Sea Bird 3:27,
* Wild Rose Flower (찔레꽃) 2:55,
* Bladder and 18 Years Old (낭랑18세) 1:55,
* Sea Gull Pair (갈매기쌍쌍) 2:50,
* Gold Leaf Pigtail Ribbon (금박댕기) 2:48
"During the Korea War, she was evacuated to Daegu, the hideout of the entertainers during the war. There, a number of celebrities remained active in the military environment. After the war, until the 60s she made a few more records. After that she remained mainly active in theater. Entering the TV era, she appeared on broadcasts were actively veteran singer were entertaining. In 1992, after a cronic disease, she died of colon cancer."
-----------------------------------
[그 노래 그 사연] 백난아의 ‘찔레꽃’
태평양전쟁 당시 애끓는 처녀 마음 담아
과거로 돌아가 이 노래를 보릿고개에 부른다면 삶의 정한(情恨)을 더욱 깊이 느낄 것이다. 찔레꽃은 4~5월을 관통해 피는 꽃이다. 이 꽃이 만발할 즈음엔 보리가 누렇게 익어간다. 옛날엔 이 무렵 북쪽 오랑캐가 보리를 빼앗으려고 쳐들어오기도 했다. 배를 곯는 궁핍한 봄날, 붉게 핀 찔레꽃은 가슴을 더 아리게 한다.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 나라 내 고향
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자주 고름 입에 물고 눈물 젖어
이별가를 불러주던 못 잊을 사람아
(백난아 ‘찔레꽃’ 1절)
1941년 만주지역 순회공연 중 비밀리에 독립군을 만나고 온 김교성과 김영일은 이 노래를 작곡·작사해 백난아의 목청에 실었다. 태평양(대동아)전쟁이 한창일 때 울려 퍼진 이 곡은 가사보다 오프닝 대사가 당시 상황을 대변한다.
‘이른바 대동아전쟁의 풍운이 휘몰아치던 날 우린 그 어느 때보다 슬픈 별 아래 서야 했다. 절망의 황혼, 우리는 허수아비. 남의 나라 전쟁터로 끌려가던 젊은이들의 충혈된 눈동자. 처녀들은 일본군 위안부에 끌려갈까 봐 시집을 서둘렀지. 못 견디게 가혹한 그 계절에도 찔레꽃은 피었는데….’
대동아전쟁은 일제(日帝)가 사용한 용어로, 태평양전쟁이 옳은 표현이다. 이 곡은 KBS 프로그램 <가요무대>(1985년 11월4일 첫 방송) 역사상 가장 많이 신청된 노래다. 사실 1942년 3월 태평레코드에서 이 노래를 발표했을 당시엔 반응이 신통치 않았다. 그러나 광복 후부터 인기에 날개를 달았다. 남북 분단 후엔 ‘못 잊을 동무야’는 ‘못 잊을 친구야’로, ‘노래하던 세 동무’는 ‘노래하던 동창생’으로 가사를 일부 수정했다.
당시 19세였던 백난아는 본명이 오금숙으로 1923년 제주에서 태어났다. 함경북도 청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1940년 노래 ‘오동동 극단’으로 가요계에 데뷔했다. 예명 ‘난아’는 난초처럼 청아하다는 뜻으로, 양아버지 백년설이 붙여줬다. 1992년 심장병으로 70세의 생을 마감한 이후 제주 한림읍에서는 ‘백난아 가요제’가 열린다.
김교성은 1960년 이승을 등진 작곡가다. 20세 전후 조선황실 소속의 ‘이왕직양악대(李王職洋隊)’에서 클라리넷을 배웠고, 1925년 무성영화 효과음악 연주단원으로 활약했다. 1930년대 후반 신인가수선발대회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며 진방남·백난아·백재홍 등을 발굴했다.
유차영<솔깃감동스토리연구원장, 한국콜마㈜ 상무이사>
-----------------------------------
[That Song That Story] Baek Nan-ah's "Brier" Flower
A pure heart boiling during the Pacific War.
If you go back to the past and sing this song to the barley hill, you will feel deeply the emotions of life. "Brier" is a flower that blooms from April to May. By the time this flower blooms, barley ripens yellow. In the olden days, the North Orangca came in to snatch barley. On a hungry spring day, the red brier makes what one feels more beautiful.
Hometown in southern country where brier blooms red
I miss you on the hill side.
Frequent scars and tears flow
I can't forget how I said goodbye
(Verse 1, Briar Flower)
Kim Gyo-sung and Kim Young-il, who secretly met the Independence Army during their tour of Manchuria in 1941, wrote the song and recorded it with Baek-Nan's singing. The song resonated during the Pacific War, and the opening introduction speaks more for that situation rather than the real lyrics.
'The day the winds of the Great East Asian War raged, we had to stand firm under the sad stars more than ever. Under the Twilight of despair, we survived. The red-eyed eyes of young people who were taken to the battlefield in another country. The virgin girls rushed to marry quickly or they would be taken to becom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army. The brier bloomed even in the harshest of seasons.’
"The Great East Asian War" is a term used by Japanese imperialism, while "the Pacific War" is a more correct expression. This song is the most requested song in the history of KBS program 'Songstage' (first broadcast on November 4, 1985). In fact, when the song was released in Taepyeong Records in March 1942, the reaction was unsettling. But after the liberation, it gained popularity. After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into North and South), the lyrics were slightly changed.
Baek Nan-ah, 19, was born in Jeju in 1923. She spent his childhood in Chongjin, North Hamgyong Province. The name “nanah” means to look like an orchid. Since the death of her as a 70-year-old in 1992 due to heart disease, a 'Baek-an-Yang Song Festival' is held in Hallim-eup, Jeju.
Kim Kyo-sung is the composer of this song who retired in 1960. He studied clarinet at the Leewang Jikyang Band (李 王 職 洋 隊) belonging to the Joseon imperial family after the age of 20, and in 1925 he was a member of the music performance music group. In the late 1930's, he worked as a judge of the New Prize Selection Contest.
Yoo Cha-Young <Director, Solgit Impression Story, Kolmar Korea
-----------------------------------
본명 오 금숙으로 1923년 5월18일 함경북도 청진에서 비교적 안정된 가정에서 출생하시어 몇살에 서울로 내려왔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서울 양재 고등"을 졸업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백 난아 라는 예명을 갖기로는 선배가수 였던 백 년설씨께서 자신의 백씨 성에 흰꽃을 피우는 "蘭"을 좋아 한다 고 백 난아라고 지었다는 것에는 누구도 의문을 제기치 않습니다. 선생은 일제 강점기 시절 노래로 민중의 울분을 달래줬던 "망향초 사랑" "낙랑 18세" "갈메기 쌍쌍" "아리랑 낙랑" 등 수많은 애창곡을 대중과 같이 불러 1세대 가요스타로 올라있습니다. 저는 2008년 8월21일 위의 이력으로 선생을 정리 모 사이트에 올렸던 사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2009년 3월 제주도에서 백선생과 친척이 되신다는 분 에 의하여 <백 난아 기념사업회>를 발촉하고 백 선생께서 다니셨다는 명월초등학교 앞에 찔래꽃 노 래비 공원을 만들고 2009년 7월 25~26일 2일간 가요제를 열었는데 한때 같은 무대에 섰던 "금 사향" 선생이 <게스터>로 출현했는데 백 난아 선생의 세째딸 이 출현하여 어머님의 찔래꽃을 불렀다 함은 백 난아 선생의 출생지가 함북 청진이 아니고 제주도의 명월리 라는 곳에서 나셨던 것이 사실이 아닐 지 또한 서울에 오빠 되시는 분이 생존중이라는 사실과 백 선생은 3남3녀 중 세째 였다고 합니다.
저는 백 선생을 흠집을 내거나 제가 소개했던 내용이 완벽한 사실이라고 고집하지 않습니다. 작고하신 작곡가(빨간 마후라)이자 음악 평론가 셨던 고 황 문평선생께서 누구도 하지못한 가요 반세기를 시대별 로 책자와 음반으로 완벽에 가깝도록 정리 하셨습니다. 제가 백 난아 선생을 소개한 내용이 당시의 조사 되었던 그 내용을 적어 올렸던 것입니다. 본인은 사실 원로가수분들을 대부분 잘 알고 지냅니다.이 문제 가 한때 대단한 논란꺼리 였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 가요사는 개인적인 프로필이 정확하게 기록될때 그 가치가 신뢰성과 함께 길이 남을 것이라는 의미로 이렇게 정리 하고 싶습니다. 제주도에 친인척이 많다는 것과 서울의 친오빠가 생존하고 있었다면 백 난아 선생의 출생지는 제주도가 맞는것이 아닐까?생각하고 그러면 그동안 알려졌어야 할 이 사실이 어째서 오늘에 와서 불거졌느냐? 사실 백 년설씨는 백 난아선생 을 자신의 딸이라고 모르는 이에게 소개 했답니다. 즉 이복형제들이 아닐지? 같은 아버지 지만 어머님이 다를 경우 집안 분위기에 따라 피차 요원한 사이로 남보다 못하게 지내는 경우가 있듯이 유사한 경우로 해석 하고 싶습니다. 이 백 난아 선생 또래 남,녀가수들의 경우 "이 난영""장 세정" "박 달마" 등 30여분들 의 노래를 작사했거나 작곡한 분이 6,25로 월북했거나 인민군으로 끌려간 사람들 까지 그 분들의 노래를 부르지 못하게 했습니다. 자연 불행했던 그 분들이 매일 모여 소일한곳이 충무로의 신 카나리아 씨가 문 을 열었던 "카나리아 다방"이 였습니다. 원로가수 대부분 수십년 그 다방을 이용 했습니다. 살길을 찾아 L A로 이민을 가서 한인방송에 출현하는 정도 였습니다. 자살하신분이 몇분 있고, 백 선생 역시 심장병 을 앓다 1989년 대장암 판정을 받고 1992년에 생을 마감 하셨습니다.
Partial translation attempt:
"It is not clear how old she was when she came to Seoul after first being born in a relatively stable family on May 18, 1923 in Chongjin, North Gyeongsang Province, but it is clear that he graduated from Seoul Yangjae High School. No one doubts that Baek Yeon-seol, a senior singer who wanted to be named Baek Na-ah, loved "Bahum", a place which blooms white flowers at the Baek-si castle. She sings a number of favorite songs such as "Love of Mangyangcho", 18-year-old, "Kalumgi Pairs" and "Arirang Nakrang", which soothed the crowds with these song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March 2009, they started a <People's Memorial Project> in Jeju Island where they made a stalk flower noraerabi park in front of Myeongwol Elementary School where Baek teacher attended. "
-----------------------------------
CONCLUSION:
Baek Nan-Ah I consider as a fine average singer who mostly did not provide many surprises and fit well within its time frame. With a bit more original songs she can still lift herself out a bit.
-----------------------------------
OTHER LINKS:
Comments